Chronicles of Daewoo

경영의 기록

2-4-1-01 대우전자 오디오 전문회사로 태동하다

대우전자주식회사의 기원은 1971년 9월2일 자본금 1천만원으로 설립한 주식회사 내쇼날의류로부터 시작된다. 대우실업은 의류공급원의 한부분으로 내쇼날의류를 설립, 운영해 왔으나 점차 경공업 제품 수출여건이 변화하고 회사규모가 대형화 됨에 따라 기술집약산업에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었다. 그리고 때마침 한국전자공업진흥법의 공포(1969년)와 전자공업진흥 8개년 계획(1969~76년)을 통한 정부주도의 산업구조 개편이 시작되던 시기였다. 이에 1971년 11월 중견 전자제품 생산업체인 동남전기를 인수한 대우는 이를 기반으로 전자사업에 뛰어들 준비를 갖춰 나갔다.
1974년 1월 22일 내쇼날의류는 상호를 대우전자주식회사로 변경하고 전자제품 생산과 수출을 주종으로 업종을 전환하게 된다. 동남전기의 시설과 오더를 바탕으로 한국수출산업공단 제4단지 안에 자본금을 1억원으로 늘려 설립된 대우전자는 같은해 4월부터 수출용 오디오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대우전자는 설립 첫해에 라디오, 앰프 등 오디오 제품을 생산, 2백 63만달러의 수출실적을 올림으로써 오디오 전문수출업체로 첫선을 보였다. 1975년 초에는 라디오 전문 생산업체인 주안전자주식회사(현 주안공장)를 인수, 생산시설을 늘렸으며 1976년에는 주안공장 증축과 더불어 부평공장(전 동남전기공장)의 생산시설과 사업을 주안공장으로 통합하고 부평공장에는 모터, 데크 메카니즘(deck mechanism) 등 전자부품을 만들어 내는 인우전기주식회사를 자매회사로 설립하는 등 확장을 계속해 나갔다. 또 1977년에는 3차에 걸쳐 공장을 증축하여 건평 4,400평에 연간 3,500만달러 규모의 오디오제품 생산시설을 갖추게 되었으며, 같은 해에 자매회사인 인우전기를 흡수 합병하여 보다 전문화된 오디오 생산업체로 기반을 다져 나갔다.
시설 확충과 더불어 라디오 위주에서 카세트, 녹음기, 하이파이 제품, 카-라디오 등 전 오디오제품 및 관련부품으로 생산품목을 다양화 했으며 세계적인 전자제품 메이커인 미국의 제너럴 일렉트릭(GE), 서독의 텔레풍겐(Telefunken) 등에 주문자상표 부착방식으로 공급한 바 있다. 특히 1977년에는 미국의 제니스(Zenith)사에 앰프류를 월 1만대씩 주문자상표 부착방식으로 수출함으로써 미국 및 유럽지역 시장개척 기반을 구축했다.
한편 1977년에는 종합적인 전자제품 생산업체로 발돋움하기 위해 구미 수출산업 공단내에 11만 2,000평의 부지를 확보하고 같은해 9월 공장기공식을 가졌다. 그러나 1970년대 말부터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수출환경이 악화되자 회사는 고전하기 시작했다. 1978년 제2차 석유파동이 세계적인 경기불황을 몰고와 수출에만 전념해 온 대우에게 큰 타격을 주었기 때문이다.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은 전자제품용 수입원자재 가격을 크게 올려놓았고 국내 임금도 치솟아 우리나라 전자제품 수출경쟁력이 위협받기 시작했다. 더우기 내수기반이 없었기 때문에 그 영향은 더욱 심해 1978-79년에는 수출신장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1981년까지 경영실적이 최악의 상태로 운영되었다.
이에 따라 1981년부터는 그동안 수출시장에서 얻은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내수부문 진출을 준비하기 시작했으며 첨단기술 분야인 컴퓨터 사업, 자동차 전장품, 산업용 콘트롤러 등 새로운 상품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신기술 개발을 위해 33명의 전문연구원으로 구성된 기술연구소를 개설 하였다.
1974년부터 1982년간은 주로 오디오 제품을 전문생산, 전량 수출함으로써 비록 국내에서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수출시장에서 만큼은 기술과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던 시기였다고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대우30년사 (1997년; 가편집본)

본 내용물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일부 또는 전체를 본 웹사이트의 허가 없이 복제하거나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