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nicles of Daewoo

경영의 기록

대우의 환경에 대한 시각이 커다란 전환기를 맞았다. 기존의 오염물질 발생후 처리의 개념인 ‘환경관리’가 아닌, 오염물질의 사전 발생억제, 오염예방, 환경사업의 활성화와 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환경경영’으로 바뀐 것이다. 즉 제품의 기획, 설계, 구매, 생산, 마케팅, 폐기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오염물질발생을 최소화한다는 것이다.
오염물질 최소화가 의미하는 것은 원가절감인 동시에 기술개발이다. 때문에 대우는 환경경영이란 ‘기업이 자연의 수용능력을 감안하여 구매, 생산, 개발, 판매 등의 전과정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절약함으로써, 에너지의 또다른 형태인 오염물질과 제품 중 오염물질을 최소화 하고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여 이익을 추구하는 활동’ 이라고 정의내렸다.
대우는 환경경영 실천을 위한 생산의 각 단계마다 세부적인 환경 고려사항을 정하는 한편, 세운 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대우는, 그룹차원에서 환경위원회와 환경관리팀을 발족한 것을 비롯하여 각 가족사와 사업장에 환경위원회와 환경담당 조직을 구성했다.
환경개선 비용과 환경기술연구개발비도 1991년 투자액 대비 4.4 % 수준에서 1995년에는 6 %(1천억원) 수준으로 대폭 늘였으며, 2000년에는 11.6 %를 목표로 하고 있다.
1996년 전가족사를 대상으로 LCA(Life Cycle Assessment) 교육을 실시한 것을 시작으로 그룹차원의 환경관련 교육을 대폭 확대하고, 환경전문가를 양성하는 작업도 꾸준히 벌여나가고 있다.
또한 1996년부터는 비용편익 분석기법을 전가족사에 전파하여 투자계획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게 하고 있다. 폐기물처리에 관한 가족사들의 협력도 아울러 확대되고 있다. 특히 가족사들로 지역협의체를 구성하여, 폐기물 공동처리와 한경관련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고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별 공동대응도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환경경영 국제인증을 획득하여 해외진출시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한 작업도 추진되고 있다.
대우는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국내외 환경정보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그리고 차후 전국의 모든 사업장을 환경교육의 장으로 개발할 계획으로 있다.

제품 수명주기(Life Cycle) 환경 고려사항
상품 기획 환경적 마인드에 의한 상품 기획
구매 원자재 구매시 자원고갈, 환경오염, 저감 및 재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한 재료 선택
연구개발(R&D) 환경오염 최소화, 재활용 가능 및 해체용이 제품 연구,개발
설계(Green Design) 제품기능 및 품질에 있어서 환경의 적합성을 고려한 설계 : 자원고갈 최소화, 에너지효율 극대화, 방출물 최소화
생산공정 공정상 발생할 수 있는 오염물질을 최소화하고 오염물에 대한 폐기처리의 합리적 운영
검사 제품 출하 전 최종검사시 환경유해물질 유무에 대한 검사
완제품 환경안전, 제품, 폐기시 환경오염 최소화 제품, 재활용 가능한 제품 등 환경친화적 제품
마케팅 그린서비스(포장 최소화, 경량화)
폐기(Recycle) 자사제품에 대한 폐기처분시 비용분담
: 폐기처리 분담금 지급, 사용을 다한 폐제품의 회수처리 등

이러한 정의로부터 출발한 대우의 환경경영은 환경보존을 최우선의 기본정책 방향으로하여 고객과 지역사회, 국가, 나아가서 세계에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하여 전략을 마련했던 것이다.
그 내용을 보면 첫째, 환경오염 부하가 적은 환경친화적 생산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 생산체계는 오염물질 및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 하는 생산공정으로 현재의 공정상 오염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공정개발, 공정통합, 공정개선 등을 시도함으로써 제품생산시 에너지와 자원을 절감하거나 재이용하는 에너지효율의 극대화를 꾀하는 전략.
둘째, 꾸준한 정밀진단 실시를 통해 오염유발 사업장과 공정에 대해 환경오염방지 신기술의 개발, 적용하거나 효율성 높은 방지시설로 개선해나가는 문제발굴과 기술개발의 연계전략.
셋째, 무공해 공정, 방지기술 및 대체물질 개발 등을 통해 환경사업을 새로운 시장 및 투자기회로 활용하는 환경사업 다각화전략.
넷째, 환경과 무역의 연계에 의한 직, 간접적 각종 규제조치에 대한 선도적 대응을 통해 기업 이미지를 고양하는 선도대응과 이미지메이킹 전략.
다섯째, 우수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여 소비자들이 만족하는 환경상품을 제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되는 소비자 만족 전략.
대우는 ECO-DAEWOO21 전략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하여 환경경영 전문가를 양성하고 선진기법을 도입하여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향후 2000년에는 자타가 공인하는 명실상부한 환경기업으로써 세계시장에 우뚝선 대우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출처: 대우30년사 (1997년; 가편집본)

본 내용물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일부 또는 전체를 본 웹사이트의 허가 없이 복제하거나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