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Chronicles of Daewoo

경영의 기록

대우30년사

1967-1997

목차

목차

1-4-4-01 창업 30년 오늘, 세계경영의 성과

대우는 창업부터 한국기업의 나아갈 길은 세계시장의 개척에 있다는 인식 아래 세계시장 개척에 전념해왔다. 그 결과 1990년 내부다지기를 거쳐 93년 그룹의 핵심전략으로 세계경영을 채택하여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1-4-5-01 세계경영의 미래

세계경영이 본궤도에 오르는 2000년이 되면, 대우는 69조원의 해외매출을 포함하여 전체매출이 138조원에 이를 전망이며 해외사업장 1천여개, 해외인력 25만명을 보유한 세계적인 다국적기업으로 발돋음 할 것이다. 이를 위해

2-1-1-01 경공업 부문 확충

대우의 성장이력을 정리하다 보면 인수합병(引受合倂)이라는 단어가 무척 신경이 쓰인다. 그러나 그 인수부분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공통점 하나를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인수당한 회사가 모두 대우의 능력을 믿고

2-1-1-02 대우의 산실인 섬유류 중심의 경공업

섬유류를 중심으로 한 경공업제품 수출은 사실상 오늘의 대우를 있게한 산실이자 아직도 대우의 중요한 사업이다. 따라서 대우는 경영의 다각화를 통한 수출구조의 고도화를 추진하는 한편, 경공업제품 수출의

2-1-1-03 종합상사로의 지향

창업이래 섬유수출로 성장해 온 대우는 1972년부터 종합상사를 지향하면서 비섬유부문으로의 진출을 모색, 개발부를 설치했다. 수출품 개발이 주목적이었지만 신규투자 활동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투자활동의

2-1-1-04 질적 성장으로

대우의 섬유수출은 창업한지 8년밖에 안된 대우가 1975년 종합상사 지정을 받은 해를 전후하여 하나의 계기를 맞았다. 그것은 이제까지 양적인 팽창에서 질적성장으로 방향전환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먼저 제품의

2-1-1-05 대우가 켜놓은 북방교류의 초록신호등

1981년 7월 22일, 대우개발과 종합상사 대우실업은 각각 이사회를 열어 대우개발과 대우실업을 합병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증권감독원에 통보, 공시함으로써 한 회사로 통합했다. 이어 9월 16일에는 합병 승인을

2-1-1-06 영상미디어 사업으로의 진출

대우무역부문은 기존의 상사기능 위주의 사업구도를 탈피하고 취약한 내수사업 기반을 다지기 위해 사업의 다각화를 꾀하였다. 그리하여 1984년 VCR판촉용 비디오 테이프 공급을 개시하면서 영상미디어사업을 시작했다. 영상미디어사업은 정보화

2-1-1-07 자동차 수출의 숨은 역군들의 이야기

대우의 자동차 수출 역사는 1978년 새한자동차를 인수하면서부터 시작됐다. 동년 대우실업내에 자동차 1, 2부가 생겨났다. 1부는 중동지역으로, 2부는 중남미쪽을 수출하기 위함이었다. 이때의 수출차량은 제미니였다. 이들은 제미니를

2-1-1-08 종합통신서비스로의 지향

대우는 1995년 8월 1일 정보통신사업단을 출범시켰다. 이는 1998년 한국의 통신시장 개방에 대비하고 미래의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인 정보통신분야의 참여와 강화를 위해 해외 통신서비스사업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기

2-1-1-09 유통부문으로의 진출

오늘날 세계 유통시장은 단일화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때문에 국가간 장벽이 허물어지고 인터넷과 가상 쇼핑몰의 등장과 함께 국가간 상거래 시스템이 급격히 변화하는 등 정보화, 세계화, 소프트화,

2-1-1-11 약자와 함께 복지사회를 꿈꾸며

대우무역부문은 3천여 거래업체를 대상으로 은행구좌를 통해 결제금액을 송금해주는 펌뱅킹(Firm Banking) 서비스를 1996년 1월 1일부터 실시하고 있다. 이는 중소기업의 자금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2-1-1-12 자원개발에서 국제 핵연료 사업까지

대우의 자원 개발은 1978년 3월 물자총괄본부 산하의 1개 부서로 신설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의 자원개발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해외자원의 적기 저가 공급을 위한 자원조사를 광범위하게

2-1-2-01 대우건설의 설립

경공업 위주의 상품수출을 통해 비약적 신장을 이룩해온 대우는 1972년 수출 2위 달성, 금탑 산업훈장 수상을 고비로 1973년부터 경영다각화를 시작했는데, 오늘날 한국 건설업계의 핵심이 되고 있는

2-1-2-02 대우개발 흡수합병

1974년 8월 24일, 자본금 6,000만원의 대우건설은 자본금 10억원의 대우개발을 흡수 합병하고 이어 12월 20일에는 33억원을 유상증자, 납입자본금 43억 6000만원의 대형 건설회사로 발돋움했다. 이로써 토목건축업 도급순위는

2-1-2-03 울산화력발전소 4, 5, 6호기 건설

대우가 건설사업에 있어 확고한 뿌리를 내리고 또 국내 유수의 건설업체로 발돋움하는 계기를 이룬 것은 울산 화력발전소 건설공사를 수주하면서부터였다. 이 공사는 일괄도급 방식에 의한 발전소 건설로

2-1-2-04 해외건설 진출

해외시장 개척의 선두주자였던 대우는 건설에 있어서도 두드러진 시장개척의 발자취를 남겼다. 특히 해외건설업에 늦게 참여한 대우는 국내업체간의 과당경쟁을 피하고 신규시장을 겨냥하여 건설수출을 수행했다. 중동건설붐이 한창일 무렵

2-1-2-06 7년 만에 건설업계 2위 업체로 부상

1977년 6월의 대우센터빌딩 준공을 계기로 국내건설부문에도 적극 진출한 대우는 같은해 경부복복선 영등포-수원간 노반공사, 대한교육보험주식회사 광화문 사옥건설공사, 한국종합전시장 건설공사, 충북은행 본점 신축공사를 수주하고 건설에 들어갔다. 이듬해인

2-1-2-07 종합 엔지니어링 건설회사를 향하여

1980년대 중반을 고비로 중동 건설시장이 퇴조하자 중동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국내 건설업체들은 많은 타격을 받았으며, 또한 1980년대 후반부터는 국내외 건설환경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었다. 건설환경의

2-1-2-08 기술 제일주의 실현

1993년에 접어들면서 대우 건설부문은 “21세기 EC화된 초일류기업”이라는 비전제시를 통해 세계 10위권 종합건설사를 향한 발돋움을 시작했다. EC(Engineering Constructor)화란 1988년부터 추진되어 오던 제네콘(GENE-CON)화의 연장선장에 있는 개념으로서, 토목․건축․시공능력을

2-1-2-09 다음 세대를 위한 믿음의 건설업체로

대우건설은 지구환경이 인간의 생존과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음을 인지 하고 현재 뿐 아니라 미래의 후손에게 온전한 지구를 물려주기 위하여 당사의 모든 건설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해 나갈 계획을

2-1-3-01 경남기업의 뿌리

경남기업은 1951년 8월 29일 대구에서 창립되었다. 당시 경남토건(주)로 창립, 건설업면허 제2호를 취득한 경남기업은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된 국토를 재건하는데 앞장섰다. 그리고 1952년 11월 본사를 서울로 이전하고

2-1-3-02 대우가족의 일원이 되다

그러나 1974년 이래 중동건설 특수로 급속한 사세의 신장을 이루어온 경남기업은 1984년 들어 중동경기 퇴조와 채산성 악화가 겹쳐 한국외환은행과 자금관리 계약을 체결하고 기업 정리작업에 착수하는 비운을

2-1-3-03 50년 축적 노하우로 품질건설

대우가족의 일원이 되면서 경영내실의 기틀을 마련하게 된 경남기업은 책임경영, 기술개발, 품질관리, 그리고 협력업체 지원 강화에 주력하였다. 그리고 1989년 신도시 건설을 계기로 서울, 부산, 대구, 대전,

2-2-1-01 대우자동차의 시원

대우가 자동차공업에 뛰어든 것은 1978년 7월 25일이었다. 당시 한국산업은행 관리기업으로 있던 새한자동차의 한국측 지분을 대우가 인수하면서부터였다. 대우가 인수한 대부분의 기업들이 그러하듯 새한자동차 역시 뿌리깊은 부실기업

2-2-1-02 정부의 중화학투자 조정

거대한 설비를 갖춘 중공업이 활발히 움직이면 그 부가가치가 엄청나게 창출되지만 반대의 경우 막대한 국가적 손실이 뒤따름은 당연한 귀결이다. 정부의 중점육성 사업이던 자동차공업은 가동율이 극도로 저하되어

2-2-1-03 대우자동차주식회사의 탄생

1982년 12월, 대우와 GM측은 결국 회사정관 수정계약에 합의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대우가 원하던 경영권을 인수하게 된 것이다. 명실공히 대우가족의 일원이 된 새한자동차는 이듬해인 1983년 상호를 대우자동차로

2-2-1-04 고유모델의 개발

이러한 신차 개발계획과 설계 생산기술 연구를 위해 대우는 자동차 기술연구소와 엔진연구소를 설립하고 우수한 전문 인력들이 모여 기초과학에서부터 첨단 응용분야에 이르는 종합연구 활동을 펼쳐나갔다. 그리하여 199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