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Chronicles of Daewoo

경영의 기록

대우30년사

1967-1997

목차

목차

2-2-1-05 대우만의 고유 모델 개발

월드카 르망의 성공적인 생산에 이어 대우는 변신을 꾀하였다. 그것은 대우자동차 고유 모델의 개발이었다. 경쟁사인 현대에 비해 늦은 감은 있었으나, GM과의 공존(共存)에 따른 활발한 기술개발 투자가

2-2-1-06 차세대 소형 신차 라노스의 탄생

대우는 동급 최고의 성능과 안전도를 갖춘 차세대 소형 신차 「라노스(Lanos)를 개발하여 1996년 11월 16일부터 국내 시판에 들어갔다. 소형차의 성능과 안전도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요구에 적극

2-2-1-07 대우국민차

대우는 국내 최초로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국민차를 생산하기 위해 1988년 3월 경자동차 생산사업계획서를 상공부에 제출하면서 원대한 꿈으로 향하는 문을 열었다. 1989년 4월부터 공장건설에 들어가 1990년 12월에

2-2-1-08 대우상용차

대우는 국내외 250만대 생산체제를 구축하여 세계 10대 자동차메이커로 부상한다는 장기적인 자동차사업전략 아래 1990년 T-PROJECT를 전개했다. 이 프로젝트는 국내시장 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수출시장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2-2-1-09 자동차부품 사업

1984년 3월, 대우는 미국 GM과 자동차 부품사업 공동추진을 위한 합의각서를 교환하고 6월 1일자로 대우자동차부품주식회사 설립을 위한 합작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정부의 외국인 투자인가를 획득하여 1984년

2-2-2-01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는, 1989년 12월 1일 대우자동차부품주식회사와 대우 HMS 공업주식회사가 흡수통합하면서 탄생된 회사이다. 그러니까 결국 대우기전의 진짜 출생일은 자동차부품공업주식회사의 설립일인 1984년 6월 1일인 것이다. 두 회사의 합병으로

2-2-3-01 대우정밀공업주식회사

대우정밀공업주식회사는 1981년 12월 19일 발족되었다. 지난 1973년 11월 준공되어 기본 소화기류를 생산하여 자주국방력 강화에 기여해 온 국방부 조병창이 새로 민영화 되면서 대우가 이를 인수하게 된

2-2-4-01 코람프라스틱

코람프라스틱주식회사는 1985년 4월 20일 대우가족이었던 주식회사 제철화학이 미국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와 합작투자 계약을 체결하고 1985년 9월 30일에 설립된 R-림범퍼, 프라스틱 범퍼, 밧데리 케이스, 휠 커버,

2-2-5-01 주식회사 한국자동차연료시스템

주식회사 한국자동차 연료 시스템은 1994년 12월 19일 충남 연기군 서면 부동리 152번지에 설립됐다. 이 회사의 설립은 대우정밀공업주식회사(51%)와 미국의 Walbro Automotive Corporation(49%)과 합작으로 이루어졌다. (주)한국자동차 연료

2-2-6-01 경남금속

경남금속은 1973년 12월 7일 경기도 성남시에 경남금속공업(주)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진유공예품 제조업으로 출발하였다. 그 후 경남기업의 건축사업 부문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사업구조 조정을 통해 철물 공사업으로

2-3-1-01 대우기계주식회사

1971년 정부는 중화학공업 육성지원을 위해 전담기구인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 기획단’을 설치하고 1973년에는 중화학공업 건설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의 내용을 보면 중화학공업 비율을 1971년 35.2%에서 1981년에는 51%로 고도화하고 수출구조

2-3-1-02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 인수

한국기계의 역사는 일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37년 6월, 『조선기계제작소』라는 이름으로 출발한 이 회사는 기계공업의 불모지였던 이 땅에 세워진 최초의 공장이었다. 1939년 일제에 의해 군수공장으로 전환된 후

2-3-1-03 대우중공업주식회사의 탄생

대우인들은 만년적자의 한국기계를 인수후 1년만에 정상화 하여 흑자기업으로 반전시켰다. 대우는 한국기계의 인수당시 120억원의 자본금을 250억원으로증자, 자본의 충실을 기하였다. 매년 10억원씩 증자해야 한다는 인수 조건이 있었지만

2-3-1-04 새로운 출발과 경영정상화

인수 초기 내부관리체제 혁신을 위하여 단행한 일련의 관리체제 정비작업 및 종업원 의식개혁 작업이 어느 정도 정착되어가자 대우는 경영정상화 계획의 본격적인 실천작업에 착수하였다. 종래의 소량 주문생산

2-3-1-05 건설중장비 사업 참여

1976년말 산업기계공장의 시설을 재정비하여 지게차 전용 생산라인을 구축한데 이어, 당시 중동지역 건설붐과 국내 건설사업의 활기에 힘입어 1977년 2월 일본의 히다찌(Hitachi)사와 굴삭기 및 유압 크레인 생산을

2-3-1-06 공작기계공장 준공

대우중공업은 한국 기계공업의 선두주자답게 ‘공작기계공업의 발전이 곧 국가공업 발전의 기반’이라는 소명의식을 가지고 1976년부터 공작기계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당시 국내 기계공업의 가장 핵심적이고 중추적인 분야인 공작기계 산업의

2-3-1-07 1년 만에 흑자기업으로 전환

대우의 한국기계공업(주) 인수 후 경영진과 전 종업원의 피땀어린 노력으로 인수 원년인 1976년에 전년대비 100 % 이상의 매출신장을 기록하면서 만성적자 기업의 불명예를 벗고 흑자기업으로 전환되었다. 비록

2-3-1-08 MIPA 운동

1979년말에 일어난 제2차 오일 쇼크의 여파로 국제경기는 깊은 불황속에 빠져들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외의존도가 큰 국내경기는 국제원자재가의 급등, 고금리, 국제 수요 감소, 보호무역주의의 강화 등에

2-3-1-09 항공기사업 진출과 지게차 수출의 확대

대우의 기술 파트너였던 캐터필터사는 1980년대 들어 자국내 임금상승과 사업환경의 악화에 따라 종전까지 유지해오던 경쟁력이 크게 약화되고 일본의 고마쭈사 등이 세계시장을 잠식해오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타기업과의

2-3-1-10 방위산업 참여 확대

대우중공업은 1973년 방위산업체로 지정된 이래 군용 차량에 탑재되는 디젤엔진, 지게차 등 일반제품외에도 각종 방산품을 생산 납품해 오면서 그 물량을 점차 늘려왔다. 1980~1984년에 이르는 기간은 방위산업분야에서도

2-3-1-11 고유모델 굴삭기의 개발

대우중공업은 1977년 일본 히다찌(Hitachi)사와의 기술제휴로 굴삭기를 생산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자립 방안을 꾸준히 모색해 왔다.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 중장비업계는 기술개발 환경의 열악함과 경험부족으로 인하여 자립모델의 생산은

2-3-1-12 국내 중공업 업계의 선두주자로

1980년대 중순부터 1990년까지 대우중공업이 그동안 추진해온 사업확장과 전략사업은 사업부제 실시 이후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하였다. 또한 경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내실 위주의 경영활동을 펼친 결과,

2-3-1-13 대우조선공업㈜ 합병

대우중공업은 1994년 10월 1일 그룹 계열사인 대우조선공업(주)를 흡수, 합병하였다. 이것은 1989년 8월 산업정책심의회의 결정에 의한 정부의 조선산업 합리화계획에 따른 것이다. 이당시 합리화 계획의 골자는 조선

2-3-2-02 대우의 참여로 건설공사 재개

그러나 제3차 경제개발 계획과 관련, 중화학공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더 절실했다. 특히 그중에서도 노동집약 산업이자, 종합조립산업으로서 해운․기계 등 전후방산업의 파급효과가 매우 큰 조선공업은 우리실정에 적합한

2-3-2-04 국내 최대의 골리앗 크레인 설치

‘옥포조선소 도약의 해’였던 1981년. 연초 조직개편(4본부 8실 53부 7담당 1소 4공장 1조립장 1사무소 1출장소 3지사)을 시작으로, 조선소 건설 마무리 공사에 고삐를 당겨, 4월에는 100만톤급 제1도크를

2-3-2-06 조선불황의 여파를 헤치고

전세계적으로 해운업이 계속 침체현상을 보임에 따라 그 직접적인 영향하에 놓여 있는 각국 조선소들이 자구책으로 기존시설의 감축, 생산성 향상 및 인원감축을 통하여 경쟁력을 확보해 나갔다. 다행히

2-3-2-07 희망 90s의 전개

시련을 극복할 발판을 마련한 조선은 4개월 10일간에 걸쳐 실시된 패밀리 트레이닝을 통하여 자신과 회사의 현주소를 인식하고 주변을 생각할 줄 아는 인식의 대전환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