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abridged Records of

Global Management Initiative

세계경영의 기록

Category: 1편 시간은 아껴도 땀은 아끼지 않았다

1-4-5-01 세계경영의 미래

세계경영이 본궤도에 오르는 2000년이 되면, 대우는 69조원의 해외매출을 포함하여 전체매출이 138조원에 이를 전망이며 해외사업장 1천여개, 해외인력 25만명을 보유한 세계적인 다국적기업으로 발돋음 할 것이다. 이를 위해

1-4-4-01 창업 30년 오늘, 세계경영의 성과

대우는 창업부터 한국기업의 나아갈 길은 세계시장의 개척에 있다는 인식 아래 세계시장 개척에 전념해왔다. 그 결과 1990년 내부다지기를 거쳐 93년 그룹의 핵심전략으로 세계경영을 채택하여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1-4-3-01 대우 세계경영의 추진전략과 그 운영

1990년대에 들어 대우는 기술보호주의의 대두로 인해 세계 최고의 독창적 기술 확보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다. 그리하여 세계경영의 질을 높이고 내부 지원축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기술대우를 선언했다.

1-4-2-01 세계경영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동서진영이 대립하는 양상을 보이며 세계의 주도권을 놓고 미국과 소련은 다 알다시피 치열한 경쟁을 펼쳐왔었다. 이렇게 되자 유럽 석양론(夕陽論)까지

1-4-1-04 관리혁명의 성과

관리혁명의 가장 큰 성과는 기본질서 확립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었다. 또 당연히 지켜져야할 시간지키기, 낭비배제, 정리․정돈, 청소 등 기본질서에 대한 인식이 달라진 것이 무엇보다 질적인

1-4-1-03 관리혁명의 추진 경과

관리혁명의 추진 기본배경은, 1989년말 경쟁력 저하에 대한 대오각성하에 무엇보다도 관리주체의 의식개혁을 통하여 경영 전부문의 개혁을 단행하기 위함이었다. 원년인 1990년도는 개혁의 기반조성을 위한 의식개혁의 해로 정하고,

1-4-1-02 관리혁명의 요체

1990년 3월 22일 대우는 서울힐튼호텔에서 창업주 김우중회장을 비롯한 2천여명의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23주년 기념식을 갖고 달성을 위한 각오를 다졌다. 대우는 제2창업의 뜨거운 의지와 함께

1-4-1-01 대우는 왜 혁명이란 용어를 선택했는가?

대우가 창업되던 무렵, 우리 정부가 해외지향을 추구했다는 사실은 지금까지 갇혀있던 존재로만 인식되던 한국의 위치에 일대 전환을 가져오는 전기가 됐습니다. 이것은 우리 역사에서 중요한 갈림길이 되기에

1-3-3-02 대우조선 노사분규

또 하나 대우가족의 시련이라고 할 수 있는 대우조선 노사분규는 1987년에 있었다. 87년의 국내경제는 수출 및 설비투자의 호조세가 지속됨에 따라 국민총생산은 12.2%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대외부채잔액이

1-3-3-01 대우자동차 노사분규

대우의 30년이 모두 밝고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회사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뜻하지 않게 만나게 되는 불화를 대우 역시 만났다. 이 불화는 1985년 대우자동차 노사분규와 87년 대우조선노사분규라는

1-3-2-02 제2의 창업정신과 그 실천운동

대우실업과 대우개발의 합병에 따른 그룹의 면모 일신과 함께 1982년 대우는 제2의 도약을 위한 일대 정신운동을 전개하였다. 즉 제2창업을 기치로 내세우고 이러한 의지를 행동으로 옮기고자 제2창업

1-3-2-01 80년대 경제 환경과 구조조정 정책

80년대 경제환경과 구조조정 정책 1981년 제5공화국은 탄생과 함께 고도성장을 지속시키는 정책으로 돌아섰다. 그리하여 경제안정시책을 강력하게 추진한 결과, 1980년에 42.3 %였던 도매물가 상승율이 1981년에는 11.3 %로,

1-3-1-01 주식회사 대우의 탄생과 리비아 신화

대우의 해외건설 진출은 여타의 경쟁사에 비해 늦은 감이 없지않았다. 그렇다고 해외건설 진출을 위한 정보나 노력을 게을리 하지는 않았다. 훗날의 자체평가지만 오히려 넉넉한 시간을 가지고 준비를

1-2-5-01 사회사업 참여 – 병들고 가난한 이들을 위하여

창업 이래, 국민에게는 최대의 양심기업, 국가에는 최고의 납세자, 주주에게는 최대의 재산관리자, 종업원에게는 최적의 일터, 고객에게는 최선의 상품의 공급자로서의 역할을 자임하며 으로서의 정착을 위해 경영과 자본의

1-2-4-01 드디어 업계 1위로

「우리 수출산업인과 3백만 종업원은 정부의 지도와 온 국민의 성원 밑에 수출증대를 통하여 자립경제와 자주국방의 민족대업을 성취하는 데 헌신할 것을 다짐하면서 다음과 같이 선서 합니다. 하나.

1-2-3-01 종합상사로의 지향

1970년대에 들어서자 한국의 공업화는 1960년대의 섬유제품, 잡화류 등의 단순노동 상황에서 크게 진척을 보이게 되었다. 중화학공업화는 경공업에 비해 월등한 규모의 경제효과를 창출하는 것이 상식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1-2-2-01 서울역 앞의 마천루

대우실업의 출생지인 자그마한 공간, 동남도서(東南圖書)빌딩은 도시계획 때문에 오늘에 와서는 당시의 모습과 많이 달라졌다. 그러나 대우의 생가(生家)가 아직도 존재한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그 도서빌딩에서 대우실업은 신장되는

1-2-1-01 1970년대의 경제환경

1972년 10월 17일, 정부는 안보위기에 대처하고 남북대화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비상적인 체제개혁을 시도한다는 명분으로 전국에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그리고 국회를 해산하고 정당 및 정치활동을 중지시켰으며 비상국무회의로

1-1-4-03 기업 공개

대우실업은 명실상부한 민족기업으로서의 소임을 다하고자 1973년 기업공개를 단행했다. 당시의 우리나라 기업은 경제규모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전 근대적 경영방식에 집착하고 있었다. 굳이 설명하자면 필요한 자금을 금융기관과 정부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