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2-08 알제리의 힐튼호텔
해외진출이 활발해지자 창업주 김우중 회장은 당시 실무진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는 아프리카의 두 나라에 반드시 진출하고 싶다. 아니 진출하고야 말겠다. 그 나라는 알제리와 앙골라다. 시장개척에 있어서
해외진출이 활발해지자 창업주 김우중 회장은 당시 실무진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는 아프리카의 두 나라에 반드시 진출하고 싶다. 아니 진출하고야 말겠다. 그 나라는 알제리와 앙골라다. 시장개척에 있어서
대우는 1977년 수단에 첫발을 디딘 이래 1978년 리비아에 이어 1983년 나이지리아로 진출했으며, 이듬해 84년에는 라이베리아로 전격 진출했다. 아프리카 서부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라이베리아는 1822년 미국의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국 중 최고의 미개발 사업 투자 개발 대상 국가이며 대우의 사업참여 범위 또한 건설, 무역, 자동차 판매에 머무르지 않고 조선, 전자 등 사업다변화를 꾀하고
대우가 이란에 진출할 당시에는 이란과 이라크의 전쟁이 한창 무르익어 가던 때였다. 그런 와중인 1981년, 대우는 심각하고도 깊은 토의를 거쳐 이란에 진출하기로 결정했다. 그리하여 1982년 전쟁의
리비아의 남단 차드(Chad)와의 국경지대에 위치한 우조비행장은 불퇴진의 용기와 개척정신으로 뭉쳐 지칠줄 모르는 대우인에 의해 최단기일 내에 건설된 리비아인이 자랑하는 작품 중의 하나이다. 이 비행장의 건설로
대우는 수단으로의 진출 후 아프리카로의 진출을 적극 모색했다. 그러던 어느날 대우는 L.A 지사에서 리비아의 입찰정보를 입수하게 되었다. 그 입찰정보는 가리우니스의과대학 신축에 대한 국제입찰 정보였다. 국제입찰
「…모세가 팔을 바다로 펼치자 여호와께서는 밤새도록 거센바람을 일으켜 바닷 물을 뒤로 밀어붙여 바다를 말리셨다…」 구약성경 출애굽기 14장의 한구절이다. 홍해는 옛부터 모세의 기적을 상징 하던 바다였다.
1970년대 중반 건설업체로서는 후발주자였던 대우는, 중동에 진출하여 국내기업끼리 경쟁을 벌이는 것을 지양하고 미지의 아프리카에 진출할 것을 결정했다. 그 전초기지는 수단이었다. 당시 수단은 군정의 출발과 함께
대우는 국내 최초로 1976년 케냐 나이로비지사를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아프리카/중동 지역에 본격 진출했다. 수단에 타이어공장과 방직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건설분야도 수단, 리비아, 카메룬, 나이제리아, 라이베리아, 보츠와나,
칠레는 흔히 3W의 나라라고 한다. 청량한 기후(Weather)와 아름다운 여인(Woman), 맛난 포도주(Wine)가 그것이다. 그러나 요즘 칠레는 대우가 만든 월드카(World Car)의 또 다른 W를 추가해도 손색이 없을
1991년 대우는 방산품의 수출을 시작했다. 미주지역에 대한 권총류의 성공적인 수출이 있었고 이에 힘을 얻은 대우는 그와 함께 군수용 소화기의 수출길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군수용 소화기(한국형 소총류)의
페루에 진출한 대부분의 외국기업들이 보따리를 싸들고 철수하던 1992년에 대우는 페루시장의 가능성을 탐색하고는 비장한 각오로 진출했다. 그리하여 1996년 12월 현재, 현지에서 활동중인 대우사업장은 (주)대우 리마지사와 대우자동차판매법인을
대우의 멕시코 전자현지공장은 사막의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다. 그러므로 이곳을 방문하는 이들의 첫질문은 늘 같다. 왜 하필이면 조건 좋은 곳은 놔두고 사막 한가운데 진출하게 되었습니까? 대우의
콜롬비아는 중미와 남미를 잇는 항공교통의 중심지이자 대서양과 태평양에 연하는 라틴아메리카의 정치 중심지이다. 공항에서 (주)대우 보고타 지사가 위치한 시내까지 가는동안 곳곳에서 대우차를 볼 수 있는데, 콜롬비아에는
인구 약 2백 50만명. 국토면적 약 7만 5천㎢의 북미대륙과 남미대륙의 작은 연결고리. 동으로는 남미의 대국 콜롬비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고, 서로는 코스타리카와 이웃하고 있으며, 북으로는 대서양을
1974년, 우리나라 건설업체들이 대거 사우디에 진출했다. 소위 ‘중동건설 붐’이 시작된 것이다. 그러나 대우는 국내기반을 공고히 한후에 해외진출을 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어서 타 건설회사에 비해
2차대전 이후 극심한 인플레와 정치적 혼란을 겪은 중남미는 1990년도 중반을 맞아 괄목할 만한 성장 속도를 보이며 제2의 번영기를 맞을 채비를 하고있다. 근래들어 남미지역은 성장지역으로서 자체
세계경영이 본궤도에 오르는 2000년이 되면, 대우는 69조원의 해외매출을 포함하여 전체매출이 138조원에 이를 전망이며 해외사업장 1천여개, 해외인력 25만명을 보유한 세계적인 다국적기업으로 발돋음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우는 창업부터 한국기업의 나아갈 길은 세계시장의 개척에 있다는 인식 아래 세계시장 개척에 전념해왔다. 그 결과 1990년 내부다지기를 거쳐 93년 그룹의 핵심전략으로 세계경영을 채택하여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1990년대에 들어 대우는 기술보호주의의 대두로 인해 세계 최고의 독창적 기술 확보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느꼈다. 그리하여 세계경영의 질을 높이고 내부 지원축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기술대우를 선언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 요잉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0조의 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