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ewoo

Engineering & Construction

건설

건설

대우건설 | 경남기업

경공업 위주의 상품수출을 통해 비약적 신장을 이룩해온 대우는 1972년 수출 2위 달성, 금탑 산업훈장 수상을 고비로 1973년부터 경영다각화를 시작했는데, 오늘날 한국 건설업계의 핵심이 되고 있는 (주)대우 건설부문이 태동한 것도 이때였다.
우리나라의 건설업은 6.25전쟁의 복구사업에 힘입은 바 크다. 전쟁 후의 복구사업을 하면서 건설은 산업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그리고 1962년부터 시작된 경제개발 계획 수행으로 기간산업 구축과 사회간접자본 확충에 따른 건설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급성장해 왔다. 특히 대우가 사세를 비약적으로 확장시켜 나가고 있던 1973년 중반에는 대내외적으로 건설에 대한 수요가 크게 일고 있었다.
대우가 건설업에 참여하게 된 이유도 여기에 있었고, 덧붙여 해외활동을 통한 경험이 건설의 참여에 기여했다. 대우는 해외건설수요가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중동을 중심으로 일기 시작한 당시의 해외건설 붐은 국내 건설업계를 술렁이게 할만큼 대단한 열기였으며, 해외지향을 모토로 기업활동을 수행해온 대우 역시 이를 간과할 수 없었다.
이에 대우는 건설업 진출을 위한 계획수립에 착수했다. 그런데 당시 국내에는 650여개의 건설회사가 난립되어 덤핑입찰이 성행하는 등 건설업계의 질서가 문란했으므로 정부는 건설업계에 대한 신규참여를 불허하고 있었다. 대우가 신규로 건설업에 참여하려면 기존 건설회사의 면허를 취득하는 길밖에는 없었다. 그리하여 대우는 1973년 7월 3일, 당시 도급순위 604위였던 영세 건설업체 영진토건사를 인수했다. 그리고 동년 8월 1일 상호를 대우건설 주식회사로 바꾸었다.
대우 건설부문은 해외건설을 주력으로 성장해 왔다. 하지만 국내의 여타 건설업체들처럼 중동에서 성장한 것이 아니었다. 대우는 신시장을 개척하고 넓혀감으로써 그 성과를 드높여 왔다.
그리고 무역부문의 상품수출과 병행하여 수행된 건설수출은 경영의 효율과 세일즈 기법에 있어서도 타업체와 다른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었다.

 

대우건설

경남기업

이문근
1980 수단 타이어플랜트 준공식장
이문근
1981 리비아 트리폴리 중앙병원 신축공사 착공
이문근
1981 울산 화력발전소 4,5,6호기 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