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abridged Records of

Global Management Initiative

세계경영의 기록

Tag: 대우그룹

1-4-5-01 세계경영의 미래

세계경영이 본궤도에 오르는 2000년이 되면, 대우는 69조원의 해외매출을 포함하여 전체매출이 138조원에 이를 전망이며 해외사업장 1천여개, 해외인력 25만명을 보유한 세계적인 다국적기업으로 발돋음 할 것이다. 이를 위해

1-4-4-01 창업 30년 오늘, 세계경영의 성과

대우는 창업부터 한국기업의 나아갈 길은 세계시장의 개척에 있다는 인식 아래 세계시장 개척에 전념해왔다. 그 결과 1990년 내부다지기를 거쳐 93년 그룹의 핵심전략으로 세계경영을 채택하여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1-4-3-01 대우 세계경영의 추진전략과 그 운영

1990년대에 들어 대우는 기술보호주의의 대두로 인해 세계 최고의 독창적 기술 확보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다. 그리하여 세계경영의 질을 높이고 내부 지원축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기술대우를 선언했다.

1-4-2-01 세계경영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동서진영이 대립하는 양상을 보이며 세계의 주도권을 놓고 미국과 소련은 다 알다시피 치열한 경쟁을 펼쳐왔었다. 이렇게 되자 유럽 석양론(夕陽論)까지

1-4-1-04 관리혁명의 성과

관리혁명의 가장 큰 성과는 기본질서 확립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었다. 또 당연히 지켜져야할 시간지키기, 낭비배제, 정리․정돈, 청소 등 기본질서에 대한 인식이 달라진 것이 무엇보다 질적인

1-4-1-03 관리혁명의 추진 경과

관리혁명의 추진 기본배경은, 1989년말 경쟁력 저하에 대한 대오각성하에 무엇보다도 관리주체의 의식개혁을 통하여 경영 전부문의 개혁을 단행하기 위함이었다. 원년인 1990년도는 개혁의 기반조성을 위한 의식개혁의 해로 정하고,

1-4-1-02 관리혁명의 요체

1990년 3월 22일 대우는 서울힐튼호텔에서 창업주 김우중회장을 비롯한 2천여명의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23주년 기념식을 갖고 달성을 위한 각오를 다졌다. 대우는 제2창업의 뜨거운 의지와 함께

1-4-1-01 대우는 왜 혁명이란 용어를 선택했는가?

대우가 창업되던 무렵, 우리 정부가 해외지향을 추구했다는 사실은 지금까지 갇혀있던 존재로만 인식되던 한국의 위치에 일대 전환을 가져오는 전기가 됐습니다. 이것은 우리 역사에서 중요한 갈림길이 되기에

1-3-3-02 대우조선 노사분규

또 하나 대우가족의 시련이라고 할 수 있는 대우조선 노사분규는 1987년에 있었다. 87년의 국내경제는 수출 및 설비투자의 호조세가 지속됨에 따라 국민총생산은 12.2%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대외부채잔액이

1-3-3-01 대우자동차 노사분규

대우의 30년이 모두 밝고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회사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뜻하지 않게 만나게 되는 불화를 대우 역시 만났다. 이 불화는 1985년 대우자동차 노사분규와 87년 대우조선노사분규라는

1-3-2-02 제2의 창업정신과 그 실천운동

대우실업과 대우개발의 합병에 따른 그룹의 면모 일신과 함께 1982년 대우는 제2의 도약을 위한 일대 정신운동을 전개하였다. 즉 제2창업을 기치로 내세우고 이러한 의지를 행동으로 옮기고자 제2창업

1-3-2-01 80년대 경제 환경과 구조조정 정책

80년대 경제환경과 구조조정 정책 1981년 제5공화국은 탄생과 함께 고도성장을 지속시키는 정책으로 돌아섰다. 그리하여 경제안정시책을 강력하게 추진한 결과, 1980년에 42.3 %였던 도매물가 상승율이 1981년에는 11.3 %로,

1-3-1-01 주식회사 대우의 탄생과 리비아 신화

대우의 해외건설 진출은 여타의 경쟁사에 비해 늦은 감이 없지않았다. 그렇다고 해외건설 진출을 위한 정보나 노력을 게을리 하지는 않았다. 훗날의 자체평가지만 오히려 넉넉한 시간을 가지고 준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