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abridged Records of

Global Management Initiative

세계경영의 기록

Tag: 무역

2-1-1-12 자원개발에서 국제 핵연료 사업까지

대우의 자원 개발은 1978년 3월 물자총괄본부 산하의 1개 부서로 신설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의 자원개발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해외자원의 적기 저가 공급을 위한 자원조사를 광범위하게

2-1-1-11 약자와 함께 복지사회를 꿈꾸며

대우무역부문은 3천여 거래업체를 대상으로 은행구좌를 통해 결제금액을 송금해주는 펌뱅킹(Firm Banking) 서비스를 1996년 1월 1일부터 실시하고 있다. 이는 중소기업의 자금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2-1-1-09 유통부문으로의 진출

오늘날 세계 유통시장은 단일화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때문에 국가간 장벽이 허물어지고 인터넷과 가상 쇼핑몰의 등장과 함께 국가간 상거래 시스템이 급격히 변화하는 등 정보화, 세계화, 소프트화,

2-1-1-08 종합통신서비스로의 지향

대우는 1995년 8월 1일 정보통신사업단을 출범시켰다. 이는 1998년 한국의 통신시장 개방에 대비하고 미래의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인 정보통신분야의 참여와 강화를 위해 해외 통신서비스사업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기

2-1-1-07 자동차 수출의 숨은 역군들의 이야기

대우의 자동차 수출 역사는 1978년 새한자동차를 인수하면서부터 시작됐다. 동년 대우실업내에 자동차 1, 2부가 생겨났다. 1부는 중동지역으로, 2부는 중남미쪽을 수출하기 위함이었다. 이때의 수출차량은 제미니였다. 이들은 제미니를

2-1-1-06 영상미디어 사업으로의 진출

대우무역부문은 기존의 상사기능 위주의 사업구도를 탈피하고 취약한 내수사업 기반을 다지기 위해 사업의 다각화를 꾀하였다. 그리하여 1984년 VCR판촉용 비디오 테이프 공급을 개시하면서 영상미디어사업을 시작했다. 영상미디어사업은 정보화

2-1-1-05 대우가 켜놓은 북방교류의 초록신호등

1981년 7월 22일, 대우개발과 종합상사 대우실업은 각각 이사회를 열어 대우개발과 대우실업을 합병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증권감독원에 통보, 공시함으로써 한 회사로 통합했다. 이어 9월 16일에는 합병 승인을

2-1-1-04 질적 성장으로

대우의 섬유수출은 창업한지 8년밖에 안된 대우가 1975년 종합상사 지정을 받은 해를 전후하여 하나의 계기를 맞았다. 그것은 이제까지 양적인 팽창에서 질적성장으로 방향전환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먼저 제품의

2-1-1-03 종합상사로의 지향

창업이래 섬유수출로 성장해 온 대우는 1972년부터 종합상사를 지향하면서 비섬유부문으로의 진출을 모색, 개발부를 설치했다. 수출품 개발이 주목적이었지만 신규투자 활동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투자활동의

2-1-1-02 대우의 산실인 섬유류 중심의 경공업

섬유류를 중심으로 한 경공업제품 수출은 사실상 오늘의 대우를 있게한 산실이자 아직도 대우의 중요한 사업이다. 따라서 대우는 경영의 다각화를 통한 수출구조의 고도화를 추진하는 한편, 경공업제품 수출의

2-1-1-01 경공업 부문 확충

대우의 성장이력을 정리하다 보면 인수합병(引受合倂)이라는 단어가 무척 신경이 쓰인다. 그러나 그 인수부분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공통점 하나를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인수당한 회사가 모두 대우의 능력을 믿고